가족 중 한 명만 걸려도 순식간에 다 옮는 이유가 이거였네요ㅠ 진짜 화장실 손잡이, 수건 공유 조심해야겠어요.
여러분은 장염이 전염되기 쉬운 질병이라는 점 알고 계셨나요?
특히 한 집에서 여러 명이 사는 경우엔 식구에게 옮기게 되는 경우가 정말 많은데요.
오늘 이런 불상사를 막기 위해 장염 전염 기간, 급성 장염이 얼마나 전염성 있는지 등을 알려드릴게요.
장염 전염될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원인에 따라 전염될 수도 있습니다.
장염은 원인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뉘어요.
1) 감염성 장염
세균, 바이러스에 의해 생기며 전염 가능성 높음 (오염된 음식 통해 감염)
2) 비감염성 장염
음식 알레르기, 과식, 자극성 음식 등으로 생기며 전염되지 않음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살모넬라균 등이 원인인 장염은 전염성이 강해요.
특히 노로바이러스는 소량의 바이러스만으로도 감염될 정도로 전파력이 높습니다.
장염 전염 경로
감염성 장염은 대부분 손 → 입 경로로 전염됩니다.
감염자의 손에 묻은 바이러스가 문고리, 수건, 식기 등에 옮고,
그걸 다른 사람이 만진 후 음식 섭취 시 감염될 수 있어요.
장염 전염 예방법 7가지
1) 공동 식기, 수저, 컵 공유 절대 금지
2) 화장실 이용 후 손 씻기 + 락스 희석해서 손잡이 닦기
3) 수건, 침구, 스마트폰 공유 금지
4) 세탁물은 따뜻한 물(60℃ 이상)에 세탁
5) 장염 중엔 음식 조리 금지
6) 끓인 물 마시기
7) 생채소, 회, 덜 익은 고기류 피하기 (완전 조리)
장염 전염 기간은 얼마나 될까?
전염성 장염은 증상 시작 전부터 회복 후 며칠까지도 전염력이 남습니다.
원인 | 전염 시작 시점 | 전염 지속 기간 |
---|---|---|
노로바이러스 | 증상 시작 직전부터 | 회복 후 2~3일 |
로타바이러스 | 증상 시작 시 | 회복 후 3~7일 |
살모넬라균 | 감염 후 6~72시간 | 증상 사라진 후 1~2주 |
비감염성 장염 | 전염 안 됨 | 해당 없음 |
⚠ 그래서 증상이 좋아졌다고 바로 안심하면 안 됩니다.
완전히 회복 후에도 며칠간은 전염 위험이 남아 있으니 위생관리를 꾸준히 해야 합니다.
급성 장염이 더 잘 감염될까?
급성 바이러스성 장염은 전염성이 매우 강합니다.
증상이 갑자기 시작되고 구토, 설사, 복통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토물이나 대변에 바이러스 농도가 높기 때문에 가족, 아이들에게 빠르게 옮을 수 있습니다.
노로바이러스 등 감염성 장염은 전염력이 매우 높고, 회복 후에도 며칠간 전염될 수 있어요.
급성 장염일수록 전염 위험이 커서 위생관리가 더 중요해집니다!
가족 중 누가 장염에 걸렸다면 식기 분리, 손 씻기, 화장실 소독은 꼭 해주세요.
이런 간단한 생활 수칙만 지켜도 2차 감염을 대부분 막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