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가 만병의 원인이 되죠 문제는 스트레스 없이 살수 없다는게 문제네요
복부팽만, 잦은방귀 같은 증상이 심할 때나 긴장할 때마다 복통과 함께 설사가 찾아오는 상황이라면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해당 질환은 가스형, 설사형 외에도 복통형, 변비형 등 다양한 유형으로 발생한다.
배에 가스가 차고 잦은방귀가 발생하는 경우는 가스형을 의심할 수 있다. 이런 증상은 막대한 불편을 유발할 수 있는데 시도 때도 없이 방귀가 나오게 되어 사무실, 교실 등 여러 공간에서 장시간 머물기 어렵게 만든다.
특히 개인이 느끼는 긴장과 불안,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더욱 심해지기도 한다. 심리적인 요소에 대해 장이 과민하게 반응하며 여러 증상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식사를 마친 후에도 증상이 심해지기 쉽다.
설사나 변비 증상이 복합적으로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어떤 증상 유형이든 재발이 잦아 치료가 까다로운 질환이 과민성대장증후군이다. 이런 상태에서는 가스 빼는 약, 설사약 등 증상에 따른 약 사용에 앞서 재발 방지에 신경 써야 한다. 즉 장이 과민해진 이유를 찾는 것을 우선시해야 한다.
위강한의원 해운대점 안정훈 원장은 “장이 너무 예민해진 상태에 나타나는 질환이기에 예민해진 이유를 알아내야 개선을 위한 관리법 선택도 가능해진다. 같은 음식을 먹어도, 똑같이 스트레스를 받고 긴장되는 상황에도 유독 속이 불편해지는 건 장이 예민해져 있기 때문으로 그 이유는 2가지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위-소장의 불완전한 소화로 대장에 덜 소화된 음식이 넘어오게 된 경우, 스트레스로 소화기관을 지배하는 자율신경인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이 깨진 경우로 나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율신경 균형검사나 설진 및 입냄새검사 등을 통해 장이 예민해진 이유를 찾은 후 검사 결과에 따라 치료탕약 등으로 예민해진 장을 정상화하는데 힘써야 한다. 위장운동성을 향상시키면서 소화효소, 위산 분비 등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처방 또는 자율신경 실조형에 어울리는 처방을 적용해야 한다. 개인에 따라 약침이나 한방지사제 등으로 증상을 관리할 수도 있다. 생활관리법도 검사 결과와 체질에 맞게 의료진에게 직접 지도받은 후 실천하면 좋다”고 강조했다.
출처: 월간암
https://naver.me/Gjd7yD3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