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들어 속 불편한 증상이 계속돼서
혹시 헬리코박터균 때문은 아닐까 하고 알아보다가
검사를 받으려고 마음먹었는데 막상 어디서, 얼마에 할 수 있는 건지 좀 막막하더라고요.
그래서 저처럼 고민 중인 분들을 위해 헬리코박터균 검사 가능한 병원, 검사 방법과 종류, 대략적인 비용을 정리해봤습니다.
1. 헬리코박터균 검사 어디서 받나요?
헬리코박터균 검사는 내과에서 받을 수 있어요.
그중에서도 소화기내과, 가정의학과 또는 건강검진센터에 가면 바로 검사 상담이 가능합니다.
1) 대학병원급 병원
위내시경 진행 중 조직검사 병행 가능
2) 동네 내과
호흡 검사(요소호기 검사), 혈액 검사 중심
3) 종합검진센터
검사 옵션 다양, 비용은 비보험 시 더 높을 수 있음
특별히 헬리코박터균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바로 내과 진료보고 검사를 권유받는 경우가 많아요.
2. 헬리코박터균 검사 방법 4가지
1) 요소호기검사 (UBT)
✔ 숨을 내쉬는 방식으로 비교적 정확하고 부담 없음
✔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검사법
✔ 금식 필수 (검사 전 4시간 이상)
2) 혈액 검사
✔ 항체 유무를 확인하지만, 감염 이력만 보여주는 경우도 있음
✔ 현재 감염인지 정확히 판단하기엔 한계 있음
3) 대변 항원 검사
✔ 위내시경 없이도 비교적 정확
✔ 검사 부담 적지만 검체 제출이 불편할 수 있음
4) 위내시경 조직검사
✔ 내시경 중 위 점막에서 조직 채취
✔ 가장 정확하지만 침습적, 수면내시경 병행 가능
👉 위내시경은 다른 위염 여부도 함께 확인 가능해서 40세 이상이거나 만성 속쓰림이 있는 경우 같이 진행하기도 해요.
3. 헬리코박터균 검사 비용
비용도 병원이나 방식에 따라 차이가 꽤 있어요
✔ 요소호기 검사 (UBT) : 3만원 ~ 6만원
✔ 혈액 검사 : 2만원 전후
✔ 대변 항원 검사 : 3만원 정도
✔ 내시경 조직검사 : 건강보험 적용 시 1~3만 원대 (수면비 별도)
건강검진이나 위내시경을 할 때 검사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추가 비용 없이 진행되기도 해요.
반면 외래 진료 시 별도 검사로 진행하면 비급여로 전액 부담되는 경우도 있으니
미리 병원에 확인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헬리코박터균 검사는 단순히 한 가지 검사만 있는 게 아니고
진료과, 방식, 목적(확진 vs 선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서
내 상태와 상황에 맞는 검사법을 고르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오늘 제가 공유한 내용이 필요하신 분께 꼭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