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친구라도 셰인님한테서 떼어 버리고 나도 그래, 그래도 우리 이겨낼 수 있어. 하며 사이에 끼고 싶네요. 얼마나 힘들어요. 중요한 일. 기회. 잘할 수 있는 의지. 약속. 많은걸 가져 가잖아요. 어디서든 나약하게 만드는 마음까지도. 말하면서도 속상하네요. 셰인님한테서 과민성 장친구 떨어지도록 식습관 조절 화이팅 하겠습니다.
저는 몇 년째 과민성 대장 증후군 때문에 일상에서 참 많은 곤란을 겪고 있어요. 그냥 배가 조금 아픈 정도라면 참을 만할 텐데, 이건 언제 어디서 갑자기 신호가 올지 몰라 늘 긴장하게 만드는 게 가장 힘들어요. 특히 제가 제일 당황했던 순간은 회사 면접을 보러 갔을 때였어요. 대기실에서 제 이름이 불리기 직전에 갑자기 배가 꼬이듯 아프고 식은땀이 나는 거예요. 화장실을 가야 하나 말아야 하나, 머릿속은 이미 면접 내용보다 배를 어떻게든 참을 수 있을지가 더 큰 문제였죠. 결국 면접관 앞에 앉아 있는 내내 불편해서 제대로 집중하지 못했고, 면접이 끝나자마자 화장실로 뛰어간 기억이 아직도 생생해요.
여행 중에도 정말 곤란했던 일이 있었어요. 친구들이랑 고속버스를 타고 가는데, 출발한 지 한 시간도 안 돼서 배가 급격하게 아파왔어요. 버스는 당연히 중간에 멈추지 않고, 옆에서 친구들이 신나게 떠드는 동안 저는 식은땀을 흘리며 계속 의자에 몸을 비비꼬고 있었어요. 그때는 정말 ‘혹시 사고라도 나면 어쩌지’라는 두려움 때문에 심장이 쿵쾅거렸고, 겨우 휴게소에 도착하자마자 뛰쳐나가면서 안도의 한숨을 쉬었죠.
이렇게 한 번씩 당황스러운 경험을 하고 나면, 이후에는 외출할 때 무조건 화장실 위치부터 확인하는 습관이 생겼어요. 카페를 가도 어디에 화장실이 있는지부터 체크하고, 장거리 이동이나 중요한 약속이 있을 땐 일부러 아침을 굶거나 소화 잘 되는 음식만 먹기도 해요. 주변에서는 “너무 예민한 거 아니냐”라고 말하지만, 직접 겪어보지 않은 사람은 이 불안을 잘 몰라요. 사실 겉으로는 멀쩡해 보여도 속에서는 늘 신호가 올까 봐 긴장 상태라서 삶의 질이 많이 떨어진다고 느껴요.
요즘은 식습관을 조금씩 조절하고, 커피나 자극적인 음식을 줄이면서 증상이 예전보다는 덜 심해졌어요. 그래도 중요한 자리나 낯선 곳에 가면 여전히 조마조마한 건 어쩔 수 없어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단순한 장 트러블이 아니라, 마음까지 옥죄는 병이라는 걸 제 경험을 통해 절실히 느끼고 있어요.